2012. 4. 5. 21:47

말 많고 탈 많던 11-12 V리그 시즌도 이제 거의 끝나간다. 

이제 남은 것은 남녀 챔프전뿐. 

여자부는 이미 4차전까지 진행되었고 오는 일요일(4.8)에 마지막 5차전을 치른다. 5전 3선승제에서 5차전까지 갔다는 것은 한마디로 갈 데까지 갔다는(...) 얘기. KGC와 현대건설이 지금 나란히 2승 2패다. 오늘 있었던 4차전에서 현대건설이 3-0으로 KGC를 제압했다. 

같은 팀블로그의 심미주의님은 인삼의 최종우승을 점치셨지만 내 생각은 약간 다르다. 더욱이 이렇게 마지막 한 경기만 남은 시점에서는 더욱. 

시즌 내내 기복 없이 잘해 온 몬타뇨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최종병기 그녀이긴 하지만 KGC의 공격 루트는 사실상 몬타뇨가 유일하다. 몬타뇨가 30득점 넘게 할 때 그 다음 득점자는 4,5점 정도에 그치는 게 다반사이고, KGC의 센터진이 블로킹은 강점일지 몰라도 공격에서의 활약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보니 공격면에서 몬타뇨의 파워와 타점 외에 의존할 곳이 전무한 게 사실이다. 반면 현대건설은 황연주와 브란키차, 센터의 양효진과 김수지 등 다양한 공격 루트를 가지고 있다. 한두 명이 막혀도 다른 데서 뚫을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몬타뇨가 한 번 막히기 시작하면 답이 없는 인삼에 비하면 그래도 꽤 나은 편인 셈. 

배구란 게 결국은 공격을 해서 득점을 해야 이기는 경기라는 지론이 생긴 터라 요즘은 공격 루트가 다양한 팀에 더 점수를 주고 있고 실제로도 그런 팀들이 경기를 더 쉽게 풀어나간다고 느끼고 있는 참이다. 게다가 KGC의 수비가 쩔게 좋은 것도 아니고... 2차전만 해도 이연주가 서브에이스를 혼자 4개나 맞고 나가떨어지면서 현대건설이 쉽게 이기지 않았던가. 

서브 얘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현건은 서브 면에서도 KGC보다 좀 더 앞서 보인다. 올 시즌 정규리그 서브 순위만 봐도 10위권 안에 현대건설 선수들이 3명(황연주, 양효진, 염혜선)이나 들어가 있다. 황연주야 원래부터 알아주는 서버였지만 양효진과 염혜선의 서브도 은근히 까다로운 듯. 반면 KGC의 서버들 중 정규리그 10위권 안에 들어 있는 선수는 몬타뇨가 유일하다. 한유미와 한수지도 서브 좀 때린다지만 현건 서버들에게 가려져서인지는 몰라도 이번 챔프전에서는 그닥 눈에 띄질 않고 있다. KGC의 서브가 약해 빠진 건지 현건의 서브가 워낙 강한 건지, 아니면 KGC의 수비가 안습인 건지 현건의 리시브가 좋은 건지 가래 타기 힘들긴 하지만 기선제압 면에서 영향이 상당한 서브에서 현건이 더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판단하는지라 난 조심스럽게 현대건설이 좀 더 유리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남자부는 작년 시즌의 리턴매치다. 삼성화재vs대한항공인데...

요새는 남배를 아예 안 보고 있다. 다만 어제 있었던 PO 대한항공vs현대캐피탈 전이 오지게 웃겼다는 얘기만 스치듯 들었을 뿐.

농구 쪽에서는 관객들이 코트로 물건 던지고 양팀 선수들이 사이좋게 바닥을 닦았다는(...) 도시전설스런 말도 전해지던데 그 정도까지는 아니었다지만 이래저래 잡음이 좀 쩔어 줬다는 후문이 있다. 

뭐 그건 내 알 바가 아니고...

이번 남배 챔프전은 작년처럼 일방적인 스윕전으로 끝나지 말고 좀 끝까지 티격태격하면서 갔으면 좋겠다는 생각만 하고 있다. 

올 시즌 프로남배 경기도 이제 많아 봐야 5경기 남았는데 화려하게 잘 마무리해서 남배팬들에게 좋은 기억 남겨줘야지.


2010. 4. 9. 01:51

나님은 오늘도 경기장에 지각을 하셨습니다.
컨디션땜에 갈까말까 하다가 간거라서리...결과적으로는 가길 잘했음.
경기장앞에 도착하니 양팀들 동원관중 버스들이 즐비하더라능...

경기장에 들어가니 스코어가 14:14던가? 시소게임중.

1,2셋은 계속 양팀이 시소게임을하다가
20점대 후반이후의 승부처에서 모두 담배가 가져갔는데
담배팀의 최대 수훈선수는 한수지-_-;를 꼽을수 있을것 같다.

아무래도 경험이 적고 기복있는 세터라서 중요한순간에 범실을 자꾸하고
현건자체 팀범실도 상당해서 2셋까지는 담배가 따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덕분에 현건에서는 2세트 후반부부터 염혜선을 교체투입하는 수를 썼는데
2세트 후반에는 범실만 하다가 끝나더니 3세트부터는 뭔가 안정세...

3,4셋은 시소게임 하다가 반대현상으로 현건이 땄는데
딱히 현건이 잘했다기 보다는 범실로 자멸한 느낌이었다.
양팀 다 분위기는 정말...1차전부터 롤러코스터;

운명의 5셋에서 백목화의 블로킹 한방이 주효했었다고 본다.
그 한방에 분위기가 넘어가서 바로 김사니 블로킹도 나오고
5셋을 kt&g가 가져가면서 마침표를 찍었다.




이 두사람(마데 미안;;) 두 팀의 핵심 키를 쥐고 있는 외국인 선수.
더불어 몰빵의 핵도 담당하고 있는 선수들;;;
둘 다 콜롬비아 출신으로 같이 매치업 되면 승부욕이 불타는걸 볼수 있다.
상대의 공격 들어가면 성질내면서 화이팅 하는 모습이...ㅎㄷㄷ

두 팀 다 레프트진은 약하고(백목화,이연주/윤혜숙,한유미 솔까 한유미랑 이연주랑 다른게 뭐임;; 과거는 과거일뿐;)
라이트는 몬타뇨와 케니 둘이 버티는 상황...(유식한 용어로 아포짓이졀? 수비 안하고 공격만 가담하는...ㅋㅋ)
케니는 노련미로 버티고 몬타뇨는 높이로 버티는데 둘다 비등비등했던 경기였다.



승부의 키를 잡고 계신분은 다름아닌 이분이었다.
37세의 중고신인 장소연.
김세영vs양효진은 둘다 11득점으로 타이였지만 무려 13득점이나 뽑아내신 이분
김사니와의 호흡은 굉장히 좋아서 사이사이 날카로운 속공을 섞을때마다 관중석에서 탄성이 흘러나왔다.
재빠르게 트릭 떠줄때도 블로커 한명은 꼭 달고 가시면서 윙들의 짐을 덜어줬다.

반면에 김세영 트릭땐 무관심 트릭이라 좀 슬펐다능...
김세영이 11득점을 해줬지만 호흡면에서 장소연과는 다르게 김사니랑 안맞는 모습이 여러차례 나와서
둘 다 호흡문제에서는 고민일것 같다. 남은 이틀동안 연구좀 하시길...
(김세영의 속공은 그냥 좀 붕 띄워주면 알아서 처리할텐데...토스가 낮고 빠른 장소연과는 다르게 좀 더 높이 띄워주는게 좋을듯
 김세영의 먼지털이 문제는 토스 높이라던지 구질을 맞게 주기 힘들어서 그런것도 있는듯)




앞으로 남은 두팀의 과제는.

현대건설은 세터의 운용과 윤혜숙 리시브난;의 해소일듯...
세터문제야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염혜선이 갑자기 각성한건 좀 고무적일텐데 중요할때 미스가 많아서 골치일듯.
(솔까말 계속 스타팅으로 한수지 나오면 kt&g가 챔프 먹을듯;)

염세터도 고딩땐 꽤 배짱있는 세터였으니까 큰경기엔 염세터가 나을지도 모르겠다.
특히 그랑프리때 보여주던 저질 발토스-_-는 어디로 사라지고
시즌막판경기를 통해서 보여준 모습은 고딩때 주목받던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왔달까...

오늘 분위기 보니 현건 두세터가 말아먹는다고 욕이 많던데
한수지는 몰라도 염혜선은 그래도 칭찬받아야하지 않나 생각한다.
염세터가 아니었다면 3:0으로 게임이 끝났을꺼다.

1차전에 의외로 한유미대신 윤혜숙에게 서브목적타를 날려서 의문이 들었는데 2차전가니 윤혜숙 방전;;
리시브폭탄을 어찌 버티느냐가 관건인데 현건엔 윤혜숙빼고 리시브 잘하는 선수가 수비요원빼고 없다...


kt&g는 몬타뇨의 과로;와 이연주의 삽질문제 해소 일듯
몬타뇨에게 집중되는 공격을 센터진과 이연주, 백목화가 플옵때만큼만 해준다면 같이 살아날것 같은데
챔프전와서부터 기대만큼 많이 살아나질 못하고 있다.
특히 이연주의 삽질...뼈아픔; 플옵때는 쟤가 뭘 잘못먹었나...싶을 정도로 해주더니 원래 모습으로 복귀해서 눙물...
백목화는 그나마 오늘 살아났던데. 이연주가 5셋엔 그럭저럭 해주던데....얼른 플옵때 모습으로 돌아와다오...



참...사족 한마디 덧붙이자면...
현건 홈빨 쩔던데?
심판들 좀 똑바로하시지????ㅋㅋㅋ